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회고] 홀로선 첫 번째 웹 프로젝트
    회고 2020. 9. 28. 16:46

     2020년 3월 부터 약 6개월동안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입사를 하자마자, 우연히 기존 개발자들과 바통터치를 하게 되면서 프론트엔드 프로젝트의 설계 부터 세팅까지 맡게 되었다. 나름대로 주니어의 모습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약 4년 7개월 동안 게임 개발자, 앱 개발자,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자, 웹 개발자로 탈바꿈을 하다 보니 특정 한 분야의 깊이가 부족했다. 천년만년 팀원 중에 날 리드 해줄 사수가 있다고 생각 했는데. 새삼 나의 경력에 무게를 느끼게 되었고, 두려움 속에 반년의 시간을 보냈다.

     

    결론적으로 많은 성장을 했지만, 나의 부족함에 아쉬움 또한 많이 남았다. 하지만, 이 경험이 나를 성장 시키는 하나의 성장통이라고 생각 하고, 해당 프로젝트가 세상의 빛을 볼 수 있을지 아직 모르겠지만 짧은 경력 중에 가장 애정이 많이 담긴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1차 마일스톤이 종료 된 이 시점을 기억 하고 싶어 회고록을 작성해본다.

     

    잘한 점

    (1) 과감한 프로젝트의 환경 변화

     입사를 하고, 첫 째날은 여러 서류들을 제출하며 상황 파악을 했다. `어떤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었고, 나의 역할이 무엇인지.` 하지만 대격변의 시기였기 때문에 명확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 하던 기존의 프레임워크는 Vue였고, 내가 경험한 것은 React였다. 반 년이 지난 이후에도 난 Vue <-> React 의 장벽이 높지 않다고 생각 하지만, 난 조언을 구할 팀내 개발자가 없는 상태였기에 입사 둘 째날 부터 Vue와 React를 비교하였고, 프레임워크를 변경하고 싶다고 이야기를 했다.

     

    감사하게도 나의 이야기를 모두 들어주셨고, 지옥의 프로젝트 환경설정을 진행하게 되었다.

     

    `책임의 무게` 때문인지, `나의 성격`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입사 2일차에 예상 되는 문제를 단순 `구두 형식`이 아닌, 문서로 정리하여 설득하려 했던 시도가 잘한점으로 기억에 남는다.

     

    그냥 팀원들이 더 잘할 수 있는 것을 쓰면 되는 것 같다.

     

     

    (2) 하루 하루를 정리하기

     2200만원 신입 시절에 연봉 협상에서 증거자료를 제출하기 위해 하루 하루를 기록 했다. 그 것은 내게 너무나도 좋은 습관이 되었던 것 같다. 하루를 시작하게 될 때, 어제를 회상하지 않고 전 날의 Daily 문서를 읽으면 딜레이 없이 하루를 시작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간단한 메시지로 팀에게 공유하거나, 개인적으로 텍스트 파일에 주요 내용만 정리 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조금 체계적(?)으로 관리 했던 것 같다.

     

    날씨를 표기하기 위해, 출근시 항상 하늘을 보게 되었던 것 같다. 이 점이 무엇보다 기억에 남는다. Daily를 다시 열어볼 일은 흔치 않지만, 개인적으로 부끄럽지 않는 날이 되기 위해 하루하루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

     

    Daily의 내용으로는 `출-퇴근 시간`, `목표 업무`, `달성 업무`, `느낀 점`이 있었다. `느낀 점`의 경우 치명적이거나, 꼭 기억했으면 좋을 경우 별도의 파일로 분리하여 관리 했다. 인간은 언제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기 때문에 다음 프로젝트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었다.(적금형 회고랄까?)

     

    게으르지 않고, 꾸준했던 나의 168일에 박수를 보낸다.

     

     

     

     

    (3) 작업 내역 관리

     `개발자는 코드로 이야기 한다.`, `작업 기록은 커밋 메시지에.` 틀린 말은 아니지만,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비개발분들이 조금 더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 또한, 개발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매번 작업들이 머즤 될 때 마다, 주요 항목들의 엑션들을 gif로 만들었고, 기획서에는 나와있지 않았지만 나의 고민으로 생성 된 것들(검색 규칙, 기타 예외처리)을 정리 했다.

     

    이런 작업들이 다른 분들에게 또, 프로젝트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는 사실 잘 모르겠지만, 난 앞으로도 나의 습관으로 가지고 가고 싶다.

     

     

     

    아쉬웠던 점

    (1) 잦은 리팩토링

     프로젝트 중에 '난 지금 성장 했다.'라는 느낌을 받은 순간이 최소 3번은 있었던 것 같다. 과거에 이해 되지 않아도 꾸역구역 공부한 것들이 비로소 이해 되는 소중한 경험 들이였는데. 사실 이것이 문제였던 것 같다. 과거에 설계하고 확정 지은 시스템들이 틀렸음을 깨닫고, '늦기 전에 바꾸자.'라는 생각 때문에 단순한 리팩토링이 아닌, 구조를 바꾸는 큰 일을 두 번 진행 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UI업무와 그 외 업무가 확실히 나누어져서 큰 문제는 없었지만, 업무의 영역이 나누어져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문제를 맞닥트릴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아마, 이번 프로젝트 처럼 자유롭게 변경하기는 힘들 것이다.

     

    지식이란 것은 알면 알 수록 모르는 것이 많아지는 것 같다.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첫 걸음을 보다 더 신중히 내딛어야겠다. 내가 개발을 그만두기 전까지 내 코드가 마음에 드는 날이 올까..

     

     

     

    (2) 느슨한 코드 리뷰

     `Component에서 직접 연산 하지 않는다. Component에서는 Store의 변수만 바라본다. Atomic Design 방식을 사용하여, 컴포넌트 재사용성을 최대화 한다.` 등 몇 가지의 규칙을 정했다. 하지만, 팀원이 작업을 하며 몇 가지 규칙들을 위반해도 '내가 다음에 고쳐서 올리면 되니까.'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규모는 점점 커지게 되고, 약 400여개의 파일들이 쌓이게 되니 돌이킬 수 없게 되었다. '혹시, 나의 리뷰가 상처가 되지 않을 까?', '연차도 얼마 되지 않고, 웹 경험도 얼마 없는 내가 주제 넘은 것은 아닐까?'라는 안일한 마음가짐으로 나는 착하고 싫은 소리 하지 않는 팀원이 되었을 지 모르지만, 우리 프로젝트는 나의 마음가짐 때문에 확장성이 없는 프로젝트가 되어갔다.

     

    방관가 방치는 좋은 사람이기 보다, 책임감이 없는 무능력한 사람이다.

     

    형 어떻게 했어..?

     

     

    (3) 소탐대실(小貪大失)

     MobX를 사용하던 중에 한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 Provider를 통하여, Store들을 하위 컴포넌트에 전달하고, Inject를 통하여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될 경우 `? (Optional chaining)` `! (Non-null assertion)` 와 같은 연산자를 사용해야할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고자, 부모 컴포넌트 부터 props들을 직접 내리는 방식을 사용하기로 결정 했다.

    하지만, Atomic Design 방식도 잘못 적용 된 상황에서 해당 방식은 무의미한 노가다가 되어버렸다. 부모 컴포넌트 부터 props를 직접 내리는 것은 꼭 나쁘고, 무의미한 행동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만, 내가 강조하고 싶었던 '코드의 직관성'은 사라지고 '코드의 복잡성'만 늘어나 버렸다.

     

    나의 실력과 경험에 비하여 이상적인 설계만 주구장창 해놓으니, 한 번 방향이 틀어져버리니 대처를 할 수 없었다. 현재 나의 능력에서 완변한 설계와 구현 그리고 협업은 부족하다. 할 수 있는 만큼만 냉정히 생각하고, 대신 확장성을 고려하여 추후 유지보수에 공수가 덜 들어가는 방향을 우선적으로 생각해야겠다.

     

    좋은 설계는 '이후 얼마나 쉽게 코드를 수정할 수 있는 가?'에 가장 높은 배점이 있는 것 같다.

     

    이정도 Depth는 우스운 상황이 되어버렸다.

     

     

    (4) 명확하지 않은 역할

     Store를 설계할 때, 어떤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GameStore라고 하면, 어디까지 Game관련 데이터로 취급할 것인지. UserStore에는 게임 관련 유저 정보만 넣어야하는 지. 등 명확하지 않아, 어디에 저장해야할지 고민되기 시작했다.

    이 후, `User/Inventory, History, ...` 세분화를 시키긴 했지만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선정하는 것은 명확하지 않고, 그저 나의 주관적인 느낌에서 결정 되었다.

     

    API를 사용해서 받아오는 데이터는 `--Store`에 페이지에서 사용할 간단한 상태 값들은 `--PageStore`

     

    라는 규칙을 정해버리니, 간단한 컴포넌트에서도 바라보아야할 Store가 점점 많아졌고 규칙을 만든 나 조차도 데이터의 위치를 헤맬 수 밖에 없었다. 이 부분은 아직 명확한 해결법을 찾지 못했지만 너무 세분화 된 설계는 어쩌면 더 복잡한 스파게티를 만들 뿐인 것 같다.

     

    '인증이 필요한가'에 따라 API Store(가공 되지 않은 데이터)들을 만들고 '각 페이지마다 Store' (가공된 데이터 + UI 상태)를 만드는 것이 그나마 지금 생각나는 방법이다.

     

     

     

    (5) Controller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Controller에 대한 생각 조차 하지 못했다. 나의 Store 설계가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내다볼 지혜와 경험이 없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극악의 핑퐁이 연출되게 되었다. 사실 하나의 컴포넌트 안에서 여러 스토어의 변수를 바라보는 것은 문제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하나의 동작에서 여러 스토어의 데이터를 set, get을 하다 보니 하나의 컴포넌트 소스코드의 양이 불필요하게 많아지고 있었다.

    진짜 아차하면 사이드 이펙트 터지는거야~

     

    마일스톤 1차 종료 직전, 일부 Page Controller들을 만들었다. 모든 로직들을 Controller로 이전 시키니 Page내의 코드 줄 수가 1000줄이 넘어가는 코드를 반 이상 줄일 수 있었다. 가장 큰 장점은 로직들과 UI 컴포넌트 구성을 별도로 볼 수 있다는 점이였다. 이것을 늦게 알게 된점, 일부만 적용한 점이 아쉬웠다.

     

    프로젝트 1차 마일스톤을 마무리 하며..

     짧지만 많은 성장을 했기에 기뻤고, 하루하루 성장 할 수록 내 부족함들이 점점 뚜렷하게 보이기 시작해서 슬펐다.

    지금의 뼈대로 새롭게 태어나, 세상의 빛을 볼지. 그 때, 내가 프로젝트에 계속 참여할지 아직 알 수 없지만 처음이여서 완벽할 수는 없었지만 그렇기에 애정이 가득한 프로젝트였다.

    어떤 프로젝트를 어떤 역할로 수행하게 되더라도, 이번 회고에서 느낀 점과 회고에 적지 않은 교훈들을 되새기며 지금의 성장을 굳혀야겠다.

    댓글

Developer RyuK